[이사 준비하기]인터넷으로 취득세 계산하기, 아파트 매물 구하기
본문 바로가기
일상 생활 정보/이사

[이사 준비하기]인터넷으로 취득세 계산하기, 아파트 매물 구하기

by 뀨뀨스토리 2022. 6. 21.
반응형

저희 가족도 이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결혼하고 신혼집으로 4년 동안 전세로 잘 살았는데 집값이 너무 올라서 전세 구하기도 어렵고 전세가 있어도 

매매 가격이나 전세 가격이나 얼마 차이가 안 나서 저희 부부는 매매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전세로 살고 있는 지금 집을 구하는 것도 운이 좋았습니다. 

LH에서 진행하고 있는 신혼부부 전세임대(신전임)에 합격해서 계약금만 내고 전체 모든 금액은 LH에서 내줬습니다. 

우리 가족의 첫번째 집이고 우리 부부의 시작과 이제 두 돌 지난 꼬맹이도 함께 자라서 정도 많이 들었고 떠나기 아쉽지만

이젠 이사를 가야하는 상황입니다. 

아직 이사를 하진 않았지만 이사를 준비하고 있는 상황에 기록을 남기고, 도움이 되고자 이사 관련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 


1. 매물 구하기

이사를 결정하고 가장 먼저 어디로 이사를 갈 것인지, 아파트냐 주택이냐 빌라냐 등등 부부의 생각과 부모님의 생각, 주변 지인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신중하게 생각을 했습니다. 

 

사실 저희 부부는 집에대한 생각을 한참 전부터 나눴습니다. 

둘 다 전원 주택에 살고 싶은 생각을 하고 있었고 아내는 조금 촌으로 들어가서 토지를 매매해서 소형 주택을 지어 살려고 이것저것 많이 알아보고 상담도 해보고 그랬습니다. 

저는 예산의 문제로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예산보다 많은 예산이 들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모아놓은 돈이 없기에 포기하고 다음에 도전하기로 했습니다. 

 

전원주택의 꿈은 잠시 미뤄두고 아파트를 알아보기 시작했습니다. 

주변에 분양하고 있는 새 아파트도 많고 오래된 아파트도 많지만 현재 저희 가족이 살고 있는 아파트가 대중교통이나 편의시설은 좀 열악하지만 차로 10분만 나가면 시내 쪽이나 종합병원 등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동네라서 큰 불편함 없이 지내고 있습니다. 산 밑이라 공기도 좋고 워낙 조용한 동네라서 같은 아파트 다른 동으로 이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때마침 저희 아파트에도 매물이 있습니다. 두 돌 지난 남자 꼬맹이가 있어서 저희는 무조건 1층을 고집했습니다. 

저희 아파트는 지역에서 싼편이라 욕심을 부려 조금 큰 평수로 이사하기로 결심했습니다. 

 


2. 부동산 계산기 사이트 활용

매물을 구했으니 이젠 돈을 구해야 됩니다. 

매물의 가격은 기본이고 취득세, 부동산 중개 수수료(복비) 등 돈 나갈 생각을 하니 앞이 캄캄합니다. 

그래도 미리 계산을 해봐야 대출준비나 자금 마련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아주 유용한 사이트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부동산 계산기 사이트 링크

 

부동산계산기

부동산계산기 DTI DSR 신DTI LTV 등기수수료 법무사수수료 공인중개사 중개수수료 종합부동산세 재산세 양도소득세 공동명의 임대수익률

xn--989a00af8jnslv3dba.com


사이트로 들어가시면 대출가능금액, 취득세 등 각종 세금과 수수료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저희도 이 사이트를 이용해서 예산을 짜고 계획을 설계했습니다.

취득세를 예를 들어서 계산해 보겠습니다. 

해당되는 항목을 클릭하시거나 금액은 직접 입력하시면 됩니다. 

모두 입력하셨으면 취득세 계산을 클릭합니다. 


계산을 해보니 이렇게 친절하게 어떤 항목에 금액과 %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취득세 말고도 여러 유용한 자료들이 많이 있어서 계산해보시면 좋습니다. 

저는 생애최초라 50% 감면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오늘 기사를 보니 200만 원 이하로는 아예 면제를 해준다는 기사도 나왔습니다. 

법안 통과가 돼야 결정되니 7월에 이사를 하는 저는 해당이 안 될 것 같습니다.

아래 기사를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https://news.v.daum.net/v/20220621084654008

 

추경호 "부동산 규제지역 조정..생애 첫 주택구입 취득세 200만원 면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임대료를 자발적으로 5% 이내로 인상하는 임대인, 즉 상생임대인에 1세대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및 장기보유특별공제에 필요한 2년 거주요건을 완

news.v.daum.net


이제 집값과 세금을 알아봤으니 인테리어도 알아봐야 합니다. 

인테리어는 다음 포스팅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